[저출생 기획] ③ 일-가정 양립, 아이의 꿈…한국과 외국 다른 점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앞서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도 중인 일본과 싱가포르 사례를 소개해 드렸는데요.<br /><br />이번 시간엔 현지 한국인 가정을 통해 어떻게 일과 가정의 양립을 맞춰 가고 있는지, 우리나라가 벤치마킹해야 할 점들은 없는지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저출산 기획, 최덕재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20년 전에 싱가포르로 온 김종윤 씨 가족.<br /><br />맞벌이를 하면서도 세 아이를 밝고 건강하게 키울 수 있었던 건 가사도우미 덕이 컸습니다.<br /><br />싱가포르에선 가사도우미 제도가 도입된 지 50년 가까이 됐고, 비자도 발급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부부가 다 일을 하다 보니 양육에 대해 소홀한 부분, 한계적인 부분들을 가사도우미를 통해서 굉장히 큰 도움을 많이 받았고, 그 과정 속에서 우리가 아이들을 셋이나 계획할 수 있지 않았나 생각했습니다."<br /><br />특히 집에 함께 살면서 아침이고 밤이고 아이들을 봐주는 게 힘이 됩니다.<br /><br /> "만일 언니(가사도우미)가 아침에 출근했다가 끝나고 퇴근해야 하는 상황이면 어려움이 있을 건데, 같이 상주하고 있기 때문에…혹시라도 늦게 끝나거나 했을 때에는 도움을 많이 받았고."<br /><br /> "어떤 때는, 엄마하고 아빠는 일하고 있을 때 언니(가사도우미)가 음식 주고, 어떤 때는…슬플 때? (슬플 때도 있어?) (대화를 들어줄 수 있는 게 있단 표현이구나)"<br /><br />일본 도쿄에 자리를 잡은 주재민 씨 가족의 아침은 식사 후 아이들을 등원시키며 시작합니다.<br /><br /> "오케이, 아 유 레디? 예~! 항상 이러거든요."<br /><br />주씨는 아이가 하고 싶은 걸 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게 중요하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장남은 각종 가라테 상을 휩쓸었고, 요즘엔 야구에 푹 빠졌습니다.<br /><br /> "아이들이 기본적으로 써클 활동을 자유롭게 많이 해요. 그 부분이 형식적인 것이 아니라 정말로 활발하게 진행돼있어서, 장기적으로 보게 되면 효과가 있지 않나 생각해봅니다."<br /><br />가정 내 자녀 양육 문제가 교육 현장에서의 커리큘럼과 맞물려 돌아가고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 "아빠, 엄마에게 정말로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일본에서도 엄마로서 가장 필요한 건 일하면서 아이를 키울 수 있는 환경이었습니다.<br /><br />일본은 대기업이 아니어도 파트타임이나 단기 형식 일자리가 많은 편에 속합니다.<br /><br /> "가족들은 전부 오키나와에 있었고 남편 부모님도 한국에 계셔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없어 매우 힘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. 지금은 주 2회 일하고 있어 시간에 여유가 있기 때문에, 전보다는 육아가 수월하다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간단하지만 가장 어렵고 중요한 것, 결국 핵심은 일과 육아의 병행입니다.<br /><br />해외에서 아이를 키우는 우리 부모들의 말을 들어보면, 우리가 놓치고 있는 부분이 뭔지 알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.<br /><br />[영상취재 기자 김상윤]<br /><br />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